맨위로가기

칼립소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립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님프로, '덮는 자' 또는 '숨기는 자'라는 뜻을 지닌다. 티탄 아틀라스의 딸로,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오디세우스를 오기기아 섬에 7년 동안 붙잡아 두고 불멸의 남편으로 삼으려 한다. 제우스의 명령으로 오디세우스를 풀어주지만, 일부 전승에서는 오디세우스를 잃은 슬픔으로 자살했다고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디세이아 - 아이네이스
    《아이네이스》는 베르길리우스가 라틴어로 쓴 서사시로, 트로이 영웅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정착하여 로마를 건설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며,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강조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지니고 서구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디세이아 - 키클롭스 (사티로스극)
    에우리피데스가 《오디세이아》를 바탕으로 쓴 사티로스극 키클롭스는 오디세우스가 키클롭스 폴리페모스에게 붙잡히는 이야기와 디오니소스를 숭배하지만 키클롭스의 노예가 된 실레노스와 사티로스들의 이야기를 코믹하게 결합하여, 호메로스의 서사를 재해석하고 당대 아테네 사회의 문제들을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아틀라스의 자식 - 헤스페리데스
    헤스페리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존재로, 헤라의 과수원에서 불멸의 황금 사과를 지키며, 밤의 여신 닉스 또는 아틀라스의 딸로 묘사되고, 헤라클레스의 열두 과업과 관련되어 있으며, 중세 시대에는 오렌지로 해석되기도 했다.
  • 아틀라스의 자식 - 플레이아데스 (신화)
    플레이아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틀라스와 플레오네의 딸들인 일곱 자매로, 신 또는 영웅과의 사이에서 자식을 낳았으며,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동일시되고, 아버지의 운명이나 형제의 죽음을 슬퍼하다 별자리가 되었으며, 고대 문헌에서 항해 계절을 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네레이데스 - 스킬라
    스킬라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다 괴물로, 선원을 잡아먹는 끔찍한 존재로 묘사되며 아름다운 님프에서 괴물로 변모하는 비극적인 서사를 가진 존재이다.
  • 네레이데스 - 인어
    인어는 사람의 상반신과 물고기의 하반신을 가진 신화적 존재로,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나며, 불길한 징조, 유혹하는 존재, 또는 도움을 주는 존재로 묘사되고, 예술 작품의 소재로 널리 활용된다.
칼립소 (신화)
기본 정보
윌리엄 해밀턴의
윌리엄 해밀턴의 "칼립소가 동굴에서 텔레마코스와 멘토를 맞이하다" 부분
로마자 표기Kalypsō
영어Calypso
일본어カリュプソー
관련 신바다의 여신
거주지오기기아
배우자오디세우스
헤르메스
부모아틀라스 또는
오케아노스와 테티스
형제자매플레이아데스
히아데스
히아스 또는
오케아니스와 포타모이
자녀일부에 따르면 라티누스
다른 이들에 따르면 나우시토오스와 나우시노오스, 케팔로니아인

2. 어원

칼립소(Καλυψώ)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καλύπτω|칼립토grc(kalyptō)에서 유래되었으며,[2][3] '덮다', '감추다', '숨기다'라는 뜻을 지닌다.[3][4] 따라서 그녀의 이름은 오디세우스를 세상으로부터 숨기고 자신의 섬에 붙잡아두는 것처럼 '숨기는 자'로 번역된다.[5] 중세 사전인 ''에티몰로기쿰 마그눔''에 따르면, 칼립소의 이름은 '지식을 숨기는 자'(καλύπτουσα το διανοούμενον|칼립투사 토 디아누메논el)를 의미하며, 이는 호메로스 수식어 δολόεσσα|돌로에사grc(dolóessa, '교활한' 또는 '간계 있는'을 뜻함)와 결합하여 칼립소와 그녀의 섬이 가진 은둔적인 특성을 보여준다.[6]

3. 가족 관계

칼립소는 보통 티탄 아틀라스의 딸이라고 알려져 있다.[7] 그녀의 어머니는 대부분 이름이 언급되지 않지만, 히기누스는 그녀의 어머니가 플레이오네이며, 플레이아데스의 어머니라고 언급했다.[8]

헤시오도스와 데메테르 찬가는 칼립소를 테티스와 오케아노스의 딸인 오케아니스 중 하나로 언급하는데, 이는 다른 칼립소이거나 동일한 칼립소일 가능성이 있다.[9] 아폴로도로스의 《비블리오테케》에서는 칼립소를 네레우스도리스의 딸인 네레이스 목록에 포함시켰다.[10] 요한네스 체체스는 칼립소를 헬리오스와 오케아니스 님프 페르세의 딸로 묘사했는데, 페르세는 키르케의 부모이기도 하다.[11] 이는 아마도 키르케와의 연관성 때문일 수 있는데, 두 여신은 그들의 행동과 오디세우스와의 관계 때문에 종종 혼동되기도 했다.[12]

호메로스서사시 '오디세이아'에서 칼립소를 거인 아틀라스의 딸이라고 세 번 언급했다. 호메로스는 그녀의 아버지 아틀라스에 대해 잔혹한 성격[27]이며, 하늘과 땅을 가르는 거대한 기둥을 지탱하고 있고[28], 칼립소 자신도 간교한 여신이라고 묘사했다.[29] 후대에도 칼립소는 아틀라스의 딸이라고 전해진다.[30][31][32]

칼립소는 플레이아데스 및 히아데스와 자매이며,[37] 헤스페리데스와는 이복 자매이다.[38] 히아스[37], 헤스페로스라는 형제가 있었다고 전하는 사람도 있다.[39] 칼립소는 오디세우스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 나우시토오스와 나우시노오스를 낳았다.[40] 그러나 나우시토오스는 마녀키르케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41] 혹은 라티노스를 낳았다고도 한다.[30]

4. 오디세이아

호메로스오디세이아에서 칼립소는 오디세우스를 자신의 섬 오기기아에 7년 동안 억류했다.[15] 칼립소는 금색 북으로 베를 짜면서 노래로 오디세우스를 매료시켰다고 한다.

오디세우스는 아내 페넬로페와 헤어진 것을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칼립소에게 이 사실을 말하고 싶어했다. 그는 낮에는 이나 해안가에 앉아 울었고, 밤에는 원치 않음에도 동굴에서 그녀와 함께 잠을 자야 했다.[16] 오디세우스의 수호 여신 아테나제우스에게 오디세우스를 섬에서 풀어주라고 요청했고, 제우스는 전령 헤르메스를 보내 칼립소에게 오디세우스를 풀어주라고 명령했다. 칼립소는 신들이 여신이 필멸의 존재와 관계를 갖는 것을 싫어한다고 분노하며, 에오스오리온의 사랑, 데메테르이아시온의 사랑을 예로 들었다.[48]

칼립소는 오디세우스에게 도끼, 드릴, 을 주어 배를 만들게 하고, 섬에서 나무를 베어 배의 판자를 만들 수 있게 했다. 또한 포도주, 빵, 옷, 그리고 배를 위한 재료를 제공하고 순풍을 불어주었다. 이후 오디세우스는 배를 완성하고 칼립소를 떠난다.

오디세우스는 칼립소와 헤어진 후 바다에 나간 지 18일째에 파이에케스인의 땅을 발견했지만, 포세이돈의 방해로 바다에 던져졌다. 레우코테아 (이노)의 도움으로 칼립소의 옷을 벗고 베일을 몸에 감아 파이에케스인의 나라에 도착했다.[51] 일설에 따르면 칼립소는 오디세우스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자살했다고 한다.[32]

4. 1. 오기기아 섬

칼립소는 오기기아 섬에 있는 거대한 동굴 속에 살고 있었다. 동굴 주변에는 푸르게 우거진 오리나무, 포플러, 사철나무가 서 있었고, 동굴 입구에는 열매가 주렁주렁 열린 포도 덩굴이 무성하게 자랐다. 섬에는 4개의 샘이 있었고, 각 샘은 다른 방향으로 흘러나왔다. 게다가 샘 주변에는 제비꽃파슬리가 꽃을 피우는 초원이 펼쳐져 있었고, 그 모습은 신들조차 즐겁게 할 수 있었다. 또한 칼립소는 동굴 집의 화로에서 삼나무와 향목을 태웠기 때문에 섬 전체에 향기로운 향기가 맴돌았다. 섬은 외부 세계와 격리되어 있었고, 사람들 중에도 신들 중에도 섬을 오가는 자는 없었다.

오기기아 섬은 현재의 몰타, 고조 섬으로 여겨지며, 샬라에는 칼립소가 살았다고 전해지는 동굴이 있다.

헤라르트 데 라이레스의 1670년경 그림 '칼립소가 오디세우스의 해방을 명령하는 헤르메스'. 클리블랜드 미술관 소장.


칼립소가 등장하는 서사시 『오디세이아』는 트로이 전쟁의 영웅 오디세우스의 귀국에 관한 모험 이야기이다. 마녀 키르케 밑에서 1년 동안 살았던 오디세우스는 그 후 트라키에 섬에서 태양신 헬리오스의 노여움을 사, 제우스의 번개에 의해 배가 파괴되었고, 괴물 스킬라카리브디스가 서식하는 해역으로 되돌아갔다. 카리브디스가 숨어있는 큰 바위에는 무화과 나무가 자라고 있었고, 오디세우스는 그 나무에 매달려 카리브디스의 위협을 넘긴 후 10일째에 칼립소가 사는 오기기아 섬에 표류했다[42]

『오디세이아』는 칼립소와 오디세우스의 만남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지 않지만, 그녀는 오디세우스를 깊이 사랑하고 친절하게 돌봤을 뿐만 아니라 불사를 주는 것까지 약속했다고 전해진다[43][44]。하지만 결국 그녀는 오디세우스의 마음을 얻지 못했다. 두 사람은 처음에는 행복하게 살았지만, 오디세우스는 곧 섬 생활에 싫증을 느끼고 강한 망향의 정에 사로잡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립소는 오디세우스를 오랜 세월 동안 섬에 붙잡아 두었다[45]。오디세우스가 칼립소 곁에서 산 햇수는 5년이라고도[30], 7년이라고도 전해지지만[46], 그 동안 오디세우스가 눈물을 흘리지 않은 날이 없었다고 호메로스는 말한다[47]

결국 칼립소는 오디세우스를 귀국시키라는 제우스의 명령을 받고, 오디세우스와 헤어지게 되었다. 그것은 『오디세이아』에 따르면 영웅이 오기기아 섬에 표류한 지 8년째 되는 해였다. 칼립소는 제우스의 뜻을 전한 헤르메스 신에게, 신들의 질투심 때문에, 여신이 인간 남자에게 안기는 것도, 남편으로 삼는 것도 허용하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그 때 칼립소는 신들이 여신과 인간의 사랑을 허용하지 않았던 사례로, 에오스오리온의 사랑, 그리고 데메테르이아시온의 사랑을 들었다[48]。하지만 결국 제우스의 뜻을 피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며 명령에 따랐다. 칼립소는 해안에서 슬픔에 잠긴 오디세우스를 발견하고, 뗏목을 만들어 귀국할 것을 권했다. 이 갑작스러운 제안에 오디세우스는 놀라, 칼립소가 자신에게 해를 가할 생각이 아닌지 두려워했지만, 칼립소는 해칠 의사가 없음을 명부의 강 스틱스에 맹세했다[49]。그리고 뗏목을 만드는 데 적합한 거목이 우거진 곳을 가르쳐주고, 오디세우스가 나무를 베어 뗏목을 조립하는 동안, 돛에 사용할 천을 만들었다. 출항할 때 훌륭한 옷을 입혀주고, 충분한 식량과 물, 와인을 주었으며, 잔잔한 순풍을 보내 오디세우스를 떠나보냈다. 또한 항해 시 북천의 큰곰자리가 항상 왼쪽에 보이도록 항해하라고 가르쳤다[50]

오디세우스는 바다에 나간 지 18일째에 파이에케스인의 땅을 발견했지만, 포세이돈은 강풍을 보내 큰 파도를 일으켰고, 오디세우스는 바다에 던져졌다. 이때 오디세우스는 칼립소가 입혀준 의복의 무게 때문에 해상에 떠오를 수 없었지만, 바다의 여신 레우코테아 (이노)의 조언에 따라, 칼립소의 옷을 벗어 던지고, 레우코테아의 준 베일을 몸에 감고 바다를 헤엄쳐 파이에케스인의 나라에 도착했다[51]

일설에 따르면, 칼립소는 오디세우스를 사랑한 나머지 자살했다[32]

5. 기타 전승

호메로스는 칼립소의 자녀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후대의 이야기에서는 칼립소가 오디세우스의 아들 라티누스를 낳았다고 전해지지만, 일반적으로 키르케가 라티누스의 어머니로 여겨진다.[17][18] 다른 전승에서는 칼립소가 오디세우스에게서 나우시토스와 나우시노스 두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19]

오디세우스와 칼립소의 이야기는 길가메시 서사시에 나오는 길가메시시두리의 이야기와 몇 가지 유사점을 보인다. 예를 들어, "고독한 여인이 위로받지 못하는 영웅 방랑자에게 술을 제공하고 특별한 계급의 명예로운 사람들을 위해 바다 너머에 마련된 곳으로 그를 보낸다"는 점과 "항해를 준비하기 위해 그는 나무를 베어 다듬어야 한다"는 점이 비슷하다.[20]

헤시오도스의 저작으로 잘못 알려진 여인들의 목록의 한 단편에서는 칼립소가 오디세우스를 몇 년 동안 붙잡아 둔 이유가 아들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 한 오디세우스를 미워했던 바다의 신 포세이돈에게 호의를 베풀기 위해서였다고 주장한다.[21]

히기누스에 따르면, 칼립소는 오디세우스에 대한 사랑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22]

6. 갤러리

존 플랙스먼의 ''헤르메스가 칼립소에게 오디세우스를 풀어주라고 명령하다'' (1810)

참조

[1] 문서 Grimal, s.v. Calypso.
[2] 간행물 Speaking and concealing – Calypso in the eyes of some (ancient) interpreters http://dx.doi.org/10[...] 2013
[3] 문서 "{{OEtymD|Calypso}}"
[4] 웹사이트 Entry καλύπτω at LSJ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Calypso - The Oxford Dictionary of Phrase and Fabl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8-06
[6] 서적 Etymologikon tomega http://archive.org/d[...] Lipsiae Apud J.A.G. Weigel 1816
[7] 문서 Homer, Odyssey http://data.perseus.[...]
[8] 문서 Hyginus, Fabulae https://topostext.or[...]
[9] 문서 Hesiod, Theogony https://www.perseus.[...]
[10] 문서 Apollodorus, Bibliotheca https://www.perseus.[...]
[11] 문서 John Tzetzes ad Lycophron https://topostext.or[...]
[12] 서적 Women of classical mythology : a biograph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3] 문서 Most, p. 173 https://books.google[...]
[14] 문서 Gagné, p. 232 https://books.google[...]
[15] 문서 Homer, Odyssey https://www.perseus.[...]
[16] 문서 Homer, Odyssey http://www.perseus.t[...]
[17] 문서 Apollodorus, Epitome https://www.perseus.[...]
[18] 문서 Hesiod, Theogony https://www.perseus.[...]
[19] 문서 Hesiod, Theogony https://www.perseus.[...]
[20] 서적 Myths from Mesopotamia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NY 1989
[21] 문서 Budin, p. 230 https://books.google[...]
[22] 문서 Hyginus, Fabulae https://topostext.or[...]
[23] 서적 The New Monthly Magazine, 1836 https://play.google.[...] Henry Colburn
[24] 서적 Ten Neglected Classics of Philoso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016-09-23
[25] 서적 Dialectic of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6] 문서 『オデュッセイアー』5巻、7巻。
[27] 문서 『オデュッセイアー』1巻52行。
[28] 문서 『オデュッセイアー』1巻54行。
[29] 문서 『オデュッセイアー』7巻245行。
[30] 문서 アポロドーロス、摘要(E)7・24。
[31] 문서 ヒュギーヌス、125話。
[32] 문서 ヒュギーヌス、243話。
[33] 문서 ヒュギーヌス、序文。
[34] 문서 ヘーシオドス、359行。
[35] 문서 ヘーシオドス、1017行。
[36] 서적 アポロドーロス、1巻2・7。
[37] 서적 ヒュギーヌス、192話。
[38] 서적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4巻27・2。
[39] 서적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3巻60・2。
[40] 서적 ヘーシオドス『神統記』1017行-1018行。
[41] 서적 高津春繁『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p.179a。
[42]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12巻403行以下。
[43]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5巻136行。
[44]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7巻256行。
[45]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5巻13行-14行。
[46]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7巻259行。
[47]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7巻244行-260行。
[48]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5巻118行-138行。
[49]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5巻149行-190行。
[50]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5巻228行-277行。
[51]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5巻279行以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